부가세 신고

경로: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요약

  • 올웨이즈는 매출 신고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만 수행합니다.

  • 실제 부가세/매출 신고의 책임 및 의무는 판매자님(셀러)에게 있습니다.

  • 세무신고 관련 상세 내용은 반드시 담당 회계팀 또는 세무대리인과 논의할 수 있도록 안내 합니다.


내용

1. 부가세 신고

항목
기준 내용

신고 기준 시점

구매확정일 기준

금액 기준

수수료 대상 거래금액 – 올웨이즈 부담 할인금

결제수단 구분

카드 / 현금 구분해서 신고 필요

세금계산서 확인 경로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1-1. 부가세 신고 1차 안내

[참고 템플릿: #부가세-매출신고관련(1)]

안녕하세요 셀러님 :)

수수료에 대한 금액은 세금계산서 발행 시, 올웨이즈 → 업체 측으로 발행 처리되며,
그 외 금액은 아래 방법을 통해 매출 신고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저희 올웨이즈에서는 서비스 이용료(수수료 매출, 광고 매출, 기타 매출)에 대한 세금계산서만 발행하기에,
셀러님께서 매출에 대한 데이터를 정산 현황에서 수집하셔서 부가세 신고하실 때,
홈택스에서 직접 기입을 해주셔야 합니다.

👉 이 부분은 회계사와 논의 해주시는 등, 직접 처리 해주셔야 하며,
   저희는 가이드만 제공 드리고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리겠습니다.

✅ '부가세 신고 자료' 확인 방법
→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세금 계산서 다운로드]의
    카드/현금 구분하여 수수료 대상 거래 금액 - 올웨이즈 부담 할인금 기준으로 매출 신고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부가세, 매출 신고의 경우, 업체별로 상이할 수 있어 저희가 드리는 답변은 참고만 해주시되,
    자세한 내용은 업체 내의 회계 세무 팀에 물어 정확히 확인 후 진행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올웨이즈 부담 할인금을 왜 제외해야하나요?

위 금액을 부가세 신고시 왜 제외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제외된 이유는 이전에 플랫폼 부담 쿠폰 금액에 대해 부가가치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나에 대한 이슈가 존재했었습니다.

2014년 G마켓 대법원 판견 (대법원2014두298)에서 플랫폼 부담 쿠폰 금액을 매출 차감(=매출에누리)하는것을 인정, 매출에서 차감해야 된다는 판례에 의해 세금 대상 과세 소득을 줄이기 위해 쿠폰을 매출 차감처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셀러님들 입장에선 제외되기전, 후 신고하시는 금액은 동일합니다.

(세금계산서 발행 방식만 달라졌을 뿐, 셀러님들께서 결론적으로 신고하시는 금액은 동일)

ex. 상품 금액 100,000원 올웨이즈 부담 쿠폰 금액 5,000원 수수료 5,000원 특별 수수료 7,000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변경 전)

매출 신고 금액: 105,000원 (상품 가격 + 올웨이즈 부담 쿠폰 할인금)

매입 신고 금액: 12,000원 (수수료 + 특별 수수료)

최종 과세표준: 93,000원

(변경 후)

매출 신고 금액: 100,000원 (상품 금액)

매입 신고 금액: 7,000원 (수수료+특별 수수료-올웨이즈 부담 쿠폰 할인금)

최종 과세표준: 93,000원

ㄴ위 내용을 이해하신 후 셀러님들께서 관련 문의 시 "변경 전, 후 무관하게 셀러님께서 신고해주시는 금액은 동일하다" 안내드려주시면 됩니다.


1-2. 부가세 신고 2차 안내

[참고 템플릿: #부가세-매출신고관련(2)]

Q. 신고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 구매 확정 시점 기준으로 신고 부탁 드리겠습니다.
    (배송 완료 +7일 후 자동으로 구매 확정)

Q. 카드/현금 매출 어떻게 구분하나요?
A.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해주시면 결제 수단에 카드/현금 구분되어 있습니다.


Q.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세금계산서 다운로드]에 나와있는
 '결제 수단'에 '현금' 표시되어 있는 주문 건을
 '현금영수증'으로 신고하면 되는지, '기타'로 신고하면 되는지요?  
A. 현금영수증 매출로 신고 해주시면 됩니다.


Q. 정산 제외 금액은 어떻게 신고하나요?  
A. 정산 제외 금액은 셀러님의 올웨이즈 마케팅 비용으로,
  올웨이즈에서 발행한 세금계산서 금액에 대하여 부가가치세 비용으로 신고 해주시면 됩니다.

  즉, 셀러님이 신고하는 부가가치세 매출 금액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   세금계산서 기재 내용은 아래 내용 참고 부탁 드리겠습니다.
  수수료-올웨이즈 부담 할인금으로 계산되며, 차액이 있을 경우 기타 매출에서 제외됩니다.
  건 별로 계산되어 세금계산서 발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수수료 매출 및 서버 이용료
2️⃣ 올웨이즈 마케팅 매출 (정산 제외 금액) 
3️⃣ 기타 매출 (특별 수수료)

Q. 정산 대상 기간 어떻게 바꾸나요? / 일괄 다운로드는 불가한가요? / 기간 설정 어떻게 하나요?
A. 해당 기간에 배송 완료 된 주문 건이 이번주 금요일 18~24시에 정산 예정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거라 변경 불가합니다.
  별도 기간 설정은 불가하며,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탭에서 확인 부탁 드리겠습니다.

1-3. 부가세 신고 3차 안내

[참고 템플릿: #부가세-매출신고관련(3)]

정산 제외 금액의 세금계산서 반영 기준이 24년 3월부터 아래와 같이 변경된 점 안내드립니다. 

1️⃣ 올팜 광고:
광고 종료/취소된 시점 기준(시스템 반영 시점)으로 세금계산서에 반영됩니다.
예: 3월 31일 오전 3시 이전에 종료된 광고는 3월 세금계산서로 처리됩니다.

2️⃣ 사진 후기:
후기 차감 금액은 정산일 기준(시스템 반영 시점)으로 세금계산서에 반영되며,
예를 들어 4월 5일 정산에 포함된 후기는 4월 세금계산서로 발행됩니다.

3️⃣ 신상품 매대 체험단:
해당 항목은 24년 3월 8일 이후부터 세금계산서에 포함되지 않으며,
차감된 내역은 정산 엑셀파일에서만 확인 가능하신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정산 제외 금액은 항목마다 반영 기준이 다르다 보니,
반드시 세금계산서 엑셀파일 기준으로 확인해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4️⃣ 참고 사항(기존)
종료/취소 시점 상관 없이 정산제외금액 반영 (정산 일자 기준으로 세금계산서가 발행)

2. 부가세 신고 주기 및 기한

구분
신고 주기
신고 마감일

법인 사업자

분기별 신고 (1, 4, 7, 10월)

다음 달 25일 마감

개인 사업자

반기별 신고 (1월, 7월)

다음 달 25일 마감

🔸 예시 : 10월~12월 구매확정 건 → 1월 25일까지 신고


3. 변경 예정

  • 다음 항목은 앞으로 변경될 내용이라, 현재는 상담 시 확정적으로 안내하지 말아 주세요.

항목
현재 상태
상담사 응대 방식

현금 매출 中 현금 영수증 구분

반영 예정

“추후 구분 가능하도록 개선 예정이며, 적용 시점은 공지로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부가세 조회 전용 탭

신규 추가 예정

“추가 기능은 시스템 반영 후 안내드릴 수 있습니다.”


FAQ

셀러 전용 FAQ

[참고 템플릿: #부가세-매출신고관련(2)]

신고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구매확정시점 기준으로 신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배송완료 +7일 후 자동으로 구매확정)

카드/현금 매출 어떻게 구분하나요?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해주시면 결제 수단에 카드/현금 구분되어있습니다.

'결제 수단'에 '현금' 표시되어 있는 주문 건을 '현금 영수증'으로 신고하면 되는지, '기타'로 신고하면 되는지요?

현금영수증매출로 신고해 주시면 됩니다.

정산 제외 금액은 어떻게 신고하나요?

정산 제외 금액은 올웨이즈 마케팅 비용(예: 올팜 광고, 사진 후기 등)으로 분류되며, 이는 올웨이즈에서 서비스 이용에 대한 세금계산서로 발행됩니다.

✅ 즉, 셀러님이 신고하셔야 할 부가가치세 매출 금액에는 해당되지 않으며, 올웨이즈가 발행한 세금계산서 금액을 부가세 비용으로 신고해주시면 됩니다.

📄 세금계산서에는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 수수료 및 서버 이용료

  • 올웨이즈 마케팅 매출 (정산 제외 금액)

  • 기타 매출 (특별 수수료 등)

세금계산서는 건 별로 자동 계산되어 발행되며, 상세 내역은 아래 경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참고로 수수료 금액은 “수수료 – 올웨이즈 부담 할인금” 방식으로 계산되며, 차액이 남는 경우에는 기타 매출 항목으로 별도 발행됩니다.

정산 대상 기간 어떻게 바꾸나요? / 일괄 다운로드는 불가한가요? / 기간 설정 어떻게 하나요?

해당 기간에 배송 완료 된 주문건이 이번주 금요일 18~24시에 정산 예정이라고 기재되어있는거라 변경 불가합니다.

별도 기간 설정은 불가하며,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탭에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올웨이즈 부담 할인금을 매출 에누리로 차감하는 사유가 어떻게 되나요?

올웨이즈에서는 플랫폼이 부담한 할인금(쿠폰 등)을 매출 차감 성격의 ‘매출 에누리’로 간주하여, 당사 수수료에서 차감한 후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처리 방식은 아래와 같은 국세청 유권 해석 및 대법원 판결에 따라 이루어진 기준입니다:

유권 해석

  • 판매 중개 업체가 쿠폰을 부담하고, 해당 금액을 수수료에서 차감하는 경우, → 수수료 매출에서 해당 금액을 차감하여야 한다는 유권 해석 (서면-2019-부가-2742; 2020.05.27 / 서면-2020-부가-2320; 2021.02.19 / 사전-2016-법령해석부가-0233; 2016.06.23)

대법원 판례 (2014두298)

  • 판매 중 개업체가 부담한 쿠폰은 매출 차감 항목(매출 에누리)으로 인정

  • 이를 통해 중개업체 수수료 매출에서 차감 후 과세하는 것이 적법하다는 판결

✅ 따라서, 셀러님 입장에서는 올웨이즈 부담 쿠폰 금액은 매출이 아닌, 당사 수수료 매출에서 차감되며, 이는 세금계산서에 자동 반영되어 발행되고 있습니다.

▶ 세금계산서 상세 내역은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 세금계산서 다운로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그럼 실제 수수료 부담분과 올웨이즈 세금계산서 발행액과 맞지 않는데 셀러입장에서 부가세 처리를 어떻게 하나요?

올웨이즈의 세무 정책에 따라, 올웨이즈 부담 할인금은 ‘매출 차감 성격의 매출에누리’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 기준에 따라 해당 할인금을 차감한 금액 기준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 셀러님의 부가가치세 신고 시 처리 방식에 대해 문의 주시는 경우, 관련 유권해석인 사전-2016-법령해석부가-0311에 따르면, 플랫폼이 부담한 할인 금액을 셀러님의 매출에서도 차감 반영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그럴 경우 올웨이즈의 세금계산서 발행 방식과도 세무상 논리적으로 일관된 처리가 가능합니다.

보다 구체적인 부가세 신고 방식에 대해서는 ✅ 판매자센터 > 정산 현황 > 정산/세금계산서 안내 다운로드 파일(6페이지) 를 참고해주시고, 최종 신고 여부는 담당 회계팀 또는 세무대리인과 상담 후 결정해주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구매 확정 기준으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올웨이즈는 판매중개용역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이용수수료에 대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상 용역의 공급시기는 역무의 제공이 완료되는 때이며 올웨이즈의 판매중개용역의 제공이 완료되는 때는 구매 후 취소, 교환, 반품의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시점은 올웨이즈 판매자이용약관 상 배송 완료 후 7일(=구매확정일)입니다. 따라서 구매확정기준으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합니다.

해당 월에 정산 된 수수료랑, 세금계산서 상 수수료 금액이랑 다릅니다.

정산 기준과 세금계산서 기준이 상이하므로 서로 다릅니다.

  • 정산기준: 월요일~일요일 구매확정건에 대하여 그 다음주 금요일에 정산합니다.

  • 세금계산서기준: 해당월 1일~말일 구매확정건에 대하여 발행합니다.

수수료를 정산하기 전에, 세금계산서가 미리 발급될 수 있나요?

세금계산서는 부가가치세법상, 올웨이즈의 판매중개용역이 완료된 시점, 즉 구매확정일 기준으로 발행됩니다.

이는 "용역 제공이 완료되는 때가 공급 시점"이라는 부가가치세법 해석 기준에 따른 것이며, 구매확정일이 곧 중개서비스가 완전히 제공된 시점으로 보기 때문에, 정산일과는 무관하게 세금계산서는 구매확정일 기준으로 발행됩니다.

※ 관련 판례:

  • 대법원 94누11446

  • 대법원 2017두47564

따라서, 정산 여부와 상관없이 구매확정일을 기준으로 세금계산서가 자동 발행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작성 일자

  • 최종 수정일: 25/07/14 이지현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