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세 신고

경로: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참고 템플릿: #부가세-매출신고관련(1), #부가세-매출신고관련(2), #부가세-매출신고관련(3)]

1. 부가세 신고

  • 올웨이즈에서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토대로 세무 정책을 세우고 세무 매출을 신고하는 의무자는 셀러임을 숙지하여야 합니다.

    올웨이즈에서는 서비스이용료(수수료매출, 광고매출, 기타 매출)에 대한 세금계산서만 발행하기에, 
    셀러님께서 매출에 대한 데이터를 정산 현황에서 수집하셔서 부가세 신고하실 때 홈택스에서 직접 기입을 해주셔야 합니다.
    
    부가세, 매출 신고의 경우, 업체별로 상이할 수 있어 저희가 드리는 답변은 참고만 해주시되, 
    자세한 내용은 업체 내 회계 세무팀 혹은 세무대리인과 논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부가세 신고 기준

    경로: 7 세금계산서 관리 → 세금계산서 조회 [세금계산서 다운로드]
    시점 기준: 구매 확정 시점
    금액 기준: 카드/현금 구분하여 수수료 대상 거래금액-올웨이즈 부담 할인금 
올웨이즈 부담 할인금을 왜 제외해야하나요?

위 금액을 부가세 신고시 왜 제외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제외된 이유는 이전에 플랫폼 부담 쿠폰 금액에 대해 부가가치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나에 대한 이슈가 존재했었습니다.

2014년 G마켓 대법원 판견 (대법원2014두298)에서 플랫폼 부담 쿠폰 금액을 매출 차감(=매출에누리)하는것을 인정, 매출에서 차감해야 된다는 판례에 의해 세금 대상 과세 소득을 줄이기 위해 쿠폰을 매출 차감처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셀러님들 입장에선 제외되기전, 후 신고하시는 금액은 동일합니다.

(세금계산서 발행 방식만 달라졌을 뿐, 셀러님들께서 결론적으로 신고하시는 금액은 동일)

ex. 상품 금액 100,000원 올웨이즈 부담 쿠폰 금액 5,000원 수수료 5,000원 특별 수수료 7,000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변경 전)

매출 신고 금액: 105,000원 (상품 가격 + 올웨이즈 부담 쿠폰 할인금)

매입 신고 금액: 12,000원 (수수료 + 특별 수수료)

최종 과세표준: 93,000원

(변경 후)

매출 신고 금액: 100,000원 (상품 금액)

매입 신고 금액: 7,000원 (수수료+특별 수수료-올웨이즈 부담 쿠폰 할인금)

최종 과세표준: 93,000원

ㄴ위 내용을 이해하신 후 셀러님들께서 관련 문의 시 "변경 전, 후 무관하게 셀러님께서 신고해주시는 금액은 동일하다" 안내드려주시면 됩니다.


  • 법인: 분기별로 신고 (1, 4, 7, 10월)

    개인: 반기별로 신고 (1, 7월)

    ▷ 다음달 25일까지

    예시) 분기별로 신고 시 10, 11, 12월 구매확정된 건을 1월 25일까지 신고

2. 변경 예정

  1. 현금 매출 中 현금 영수증 구분되어 보일 예정

  2. 부가세 확인할 수 있는 탭 생성 예정

  • 위 내용은 변경 예정 중에 있으며, 전산 적용 완료되는 건들은 페이지 내에서 삭제될 예정입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